안구건조증이란

현대인들에게 흔한 질환으로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거나 눈물 구성 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 안구 표면이 손상된 상태를 말합니다.

생활 환경에 따라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발병합니다. 안구건조증은 크게 나누어서 눈물의 수분성분이 부족한 수분결핍형과 눈물의 기름(윤활유)성분이 부족한 증발형으로 나누어집니다.

수분결핍형의 치료는 평소에 물을 많이 마시는 것, 평소에 음식을 덜 짜게 먹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증발형 안구건조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고지혈증의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하고, 육류 및 트랜스지방(튀김,마아가린 등) 의 섭취를 줄이고 오메가3 제제 혹은 음식(등푸른생선, 어패류, 견과류 등)을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온찜질 및 눈꺼풀 세척도 매우 중요하며 항상 적절한 수면 및 유산소 운동이 중요합니다.

안구건조증 증상
01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 이물감이 있다.
02 눈꺼풀이 무겁고 머리가 아프다.
03 자주 눈이 뻑뻑하다.
04 눈앞에 막이 낀 듯이 보일 때가 있다.
05 눈이 쉽게 피로해져 책이나 모니터를 오래 보지 못한다.
06 바람이 불면 눈물이 쏟아진다.
07 이유없이 눈이 자주 충혈된다.
08 사용해온 콘택트렌즈 사용이 불편해진다.
09 자고 나면 눈꺼풀이 붙어 잘 떠지지 않는다.
10 눈이 부셔 눈이 자꾸 감긴다.
11 눈이 쉽게 피로하다.
12 눈이 빠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
13 건조한 곳이나 먼지가 있는 곳에서 눈이 화끈거린다.
14 눈이 빠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
15 빛에 비정상적으로 예민하고 극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안구건조증의 원인 01

눈물 성분의 불균형

눈의 표면에는 아주 미세한 두께의 눈물막이 있습니다. 눈을 깜빡일 때 눈의 표면에 눈물이 고르게 퍼지게 하여 보호막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눈의 눈물층은 제일 안쪽부터 눈물을 눈 위에 머무르게 하는 점액층, 주성분인 수성층, 증발을 막아주는 지방층 3가지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눈물막 3가지 성분

점액층 - 수성층 - 지방층

* 한가지 성분이라도 부족하면
눈이 쉽게 마르게 됩니다.

02

안검염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

안검염(마이봄샘)이 막히면 안검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안검염은 쉽게 말해 눈꺼풀에 여드름이 생기는 것으로, 만성 안구건조증 원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눈물층은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 3층 구조로 되어있는데, 안검염이 생기면 여러 염증 물질이 눈물막을 구성하는 지방층을 파괴하여 눈물이 쉽게 마르게 됩니다.

증상으로는 눈 가장자리 부분이 다른 사람보다 빨갛거나 눈꼬리 쪽에 거품처럼 하얀 눈곱이 낍니다. 눈이 뻑뻑하고 시큰거리며 쿡쿡 찔리는 느낌을 받으며, 건조한 각막에 상처가 생겨 각막염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한 경우에 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03

환경적 요인

장시간 냉난방기 사용으로 주위환경이 건조할 경우, 컴퓨터 작업 및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 장시간 가까운 거리 독서, 미세먼지 등 무의식중 지나치게 눈 깜빡임 횟수가 줄어들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04

노화

40대 이후 정상적인 노화 현상, 눈물의 분비량 감소, 눈물의 상태 변화, 한국인의 50% 발생합니다.
안구 건조증 진행과정
안구건조증을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