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환자의 삶의 방향, 습관까지
생각하여 치료하는 것이 박형주 대표원장의 제1가치입니다.
언제나 내 눈을 치료하듯
환자 한 분, 한 분께 최선의 진료를
제공하겠습니다.
원장님 약력 수많은 분들이 믿고 맡겨주신
강남푸른안과 의료진을 소개합니다.
안과 전문의
박형주 원장
  • - 서울대학교 병원
  • - 서울대학교 병원 안과 전임의 수료
  • - 現한양대학교 병원 안과 외래 교수
  • - 前충남대학교 병원 안과 외래 교수
  • - 서울대학교 병원 동문
  • - 대한 안과 학회 정회원
  • - 한국 백내장 굴절 수술학회 정회원
  • - 한국 녹내장 학회 정회원
  • - 콘택트 렌즈 학회 정회원
  • - 미국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정회원
  • - 미국 AMERIC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ORY SURGERY 정회원
  • - 유럽 EUROPE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ORY SURGERY 정회원
  • - 일본 JAPANESE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ORY SURGERY 정회원
  • - 세계 WORLD GLAUCOMA ACADEMY 정회원
  • - 아시아 ASIA PACIFIC ACADEMY OF OPHTHALMOLOGY 정회원
  • - 일본 오사카 TANEMEM HOSPITAL 안과
  • - 일본 도쿄 NIHONBASHI CATARACT CLINIC 연수
  • - 일본 도쿄 AKIHABARA EYE CLINIC 연수
녹내장 · 백내장 · 망막 동시 수술 가능 병원 녹내장 10,000건 이상
백내장 40,000건 이상 집도
트라벡톰을 이용한 녹내장 수술 2,000건 이상
노안백내장 수술 10,000건 이상
팬옵틱스 백내장 2000건 이상
국제적 학술 연구 활동 꾸준히 안과 학술 논문 발표하며 SCI 논문을 포함한,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 국제 학회 연차 참여 등으로 최신 기술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학술 논문&발표

The Measurement of Flow Resistance in Drainage Implants Using Various Tube Ligation Methods 튜브 결찰 및 스텐트 방식에 따른 방수유출장치 내 유동 저 향의 평가-미국 The Association for Rese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연자 발표

Change in Angle Parameters Measured by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fter Laser Peripheral Iridotomy Alone versus Laser Peripheral Iridotomy and Argon Laser Peripheral Iridoplasty 레이저홍재절개술 단독 치료와 아르곤레이저 주변홍채성형술 병용 치료 후 전안부빛간섭단층 촬영 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Diagnosis of Diabetic Macular Edema with Diagnosis by Retinal Thickness Analyzer 당뇨환반부종의 임상 진단과 망막두께분석의 비교

Accuracy of Opric Disc Parameters Obtained by the Heidelberg Retina Tomograph in theDiagnosis of Glaucoma 녹내장 진단에서 Heidelberg Retina Tomograph로 구한 시신경 계측치들의 정확도

The influence of Ago, Gender, Refractive Error, and Optic Disc Area on the HRT Parameters in Normal Eyes 정산안에서 연령, 성별, 굴절이상, 시신경유두 면적이 HRT 파라미터에서 미치는 영향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d of corneal stroma and descemet's membrane 각막 간질과 데스메막(Descemet's membrane) 경계 부위의 조직학적 특성